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문재인 정부 당시 북한으로 철도 금수품을 보냈다는 단독 보도, 전해드렸는데요. <br> <br>당시 이 금수품을 무상, 공짜로 보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> <br>당시 차관 방식, 빌려주는 안도 검토했지만, 절차가 오래 걸린일을 그냥 주기로 결정한 건데요. <br> <br>한동훈 국민의힘 대표, 믿어지지 않는다며 진상 규명 의지를 밝혔습니다. <br><br>최승연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지난 2018년 남북철도 공동조사 이전에 북측 요청으로 교량 보수용 금수품을 보냈을 당시 문재인 정부는 자금을 빌려주는 '차관' 방식 대신 무상 지원을 결정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><br>차관 방식을 선택할 경우 별도 계약 체결에 시간이 지체될 수 있고, 또 계약을 맺을 북측의 기관이 대북 제재 대상이라 제약이 있다는 점이 고려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<br> <br>결국 남북협력기금 예산 2천만 원을 들여 무상으로 금수품을 보내게 됩니다. <br><br>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유엔 승인 없이 유엔이 금지한 금수품을 북한에 전달한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> <br>[한동훈 / 국민의힘 대표] <br>"북한에 보낼 수 없는 금수품을 보냈다는 얘기가 나왔습니다. 평화의 가장 큰 수혜를 입고 있는 우리가 앞장서서 어겼다는 것이 믿어지지가 않습니다." <br> <br>오늘 국정감사에서도 당시 유엔 대사였던 조태열 외교부 장관에게 질의가 이어졌습니다. <br><br>[김기웅 / 국민의힘 의원] <br>"NSC 주요 국가 정책에 대한 결정이 있기 전에 유엔 대사께 의견을 문의하는 전문이나 통화가 있었습니까?" <br> <br>[조태열 / 외교부 장관] <br>"그 과정에 초기 단계에선 제가 알지 못합니다." <br> <br>당시 조명균 전 통일부 장관에 금수품이 북한에 무상지원된 경위와 NSC 논의 내용을 물었지만 답이 없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승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김재평 홍승택 <br>영상편집: 배시열<br /><br /><br />최승연 기자 suung@ichannela.com